반응형

IT 인터넷 쇼핑몰 관련주 아마존 주가 전망

아마존

아마존(Amazon)은 도서 • 의류 • 신발 • 보석 • 식품 등 다양한 품목을 판매하는 미국의 온라인 커머스 기업입니다.
1995년 제프 베조스가 시애틀에서 인터넷서점으로 처음 설립하였으며 현재는 미국 이외에도 영국, 중국 등 13개 국에서 아마존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미국의 전자상거래를 기반으로 한 IT 기업으로 확장하여 기업형 클라우드 서비스도 제공하며 괴물 기업 • 생태계 파괴자 라는 별칭을 얻고있어요.

아마존 사업부문

아마존의 기업전략은 역설적이게도 이익을 내지 않는 것이 목표예요.
아마존 사업 모델은 4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있어요.

□ 소매업 사업 : 아마존의 시작인 사업이죠. 인터넷서점으로 시작하여 여러 소매업체들에게 마켓 플레이스를 제공하고 아마존 자체상품도 취급하며 사업을 확장했어요. 이후 아마존은 물류에 투자 • 온라인 쇼핑몰 인수하며 거대 소매업체로 거듭났어요. 또한 홀푸드의 500개 매장 인수를 하면서 오프라인 사업 및 라이선싱을 통해 편의점 사업 '아마존 고'도 진출하며 아마존은 온라인 • 오프라인 장악하였어요.

디바이스와 서비스 사업 : 알렉사(Alexa) 가상 인공 지능 서비스를 통해 쌍방향 콘텐츠 제공 • 스마트 스피커 서비스 에코(Echo) 제공하며 또한 파이어 TV • 태블릿, 전자책인 킨들을 이용한 독서 서비스 등 일상생활에서 편의를 제공하는 기기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마존 웹 서비스(AWS) 사업 :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으로 간단한 데이터 저장 서비스로 시작하여 빅데이터 분석과 통계 제공에 더한 AWS 사업부는 현재 컴퓨터 프로세싱까지 제공하는 플랫폼 운영중이예요.

엔터테인먼트 사업 : 비디오 다운로드 • 오디오 북 • 아마존 뮤직을 통한 음원 서비스 및 트위치를 통한 비디오 게임 방송 서비스를 온라인 생중계를 제공하는 서비를 하고 있어요.

아마존 매출

 

아마존 매출과 영업이익에 대한 시장 기대치를 아마존 매출은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요. 온라인 리테일 시장이 예상보다 빠르게 커지고 있는데다 아마존의 시장 점유율은 가파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아마존은 수요가 급증하는 미국의 연말 쇼핑 시즌에 대비해서 물류창고를 미리 확보하고 인원을 확충했을 정도니 해당 기간 추가적인 수익을 거둔 것은 확실한 것이겠죠. 코로나19 사태로 오히려 아마존 가치는 더욱 빛을 받는 것 같아요.

아마존 CEO


아마존 CEO는 제프리 프레스턴 베이조스(Jeffrey Preston Bezos)입니다. 베이조스는 1964년생 덴마크계 미국인이며 프리스탄 대학교 출신이네요.

베이조스의 아마존닷컴이 탄생하게된 이야기를 해볼게요.

베이조스가 창업전 계획한 아마존 사업구상도


1994년 베이조스는 회사를 때려치우고 시애틀에서 아내와 인터넷 서점으로 시작한 그는 친척과 친구에게 200만 달러의 창업자금을 받아 시작하였죠.
1995년 베이조스는 시애틀 자신의 집 창고에서 3대의 워크스테이션을 가지고 아마존닷컴을 창업했어요.
아마존닷컴 창업 일주일 만에 미국 전역과 전세계 45개 도시에 서적을 판매하기 시작했고 1997년 주당 18달러 상장됐고 이후 주당 2,000달러까지 상승하게 됐죠. 저때 아마존닷컴에 투자했더라면..

아마존 배당금


아마존 배당금은 배당수익율이 0.00% 입니다. 아마존 배당금은 0원 입니다.

2018년 아마존 배당금 : 0원
2019년 아마존 배당금 : 0원
2020년 아마존 배당금 : 0원

아마존 놀랍게도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아요. 대부분 이 가격대 우량주에 투자하는 이유는 안정적인 주가의 우상향과 배당금을 보고 투자하는 경으가 많은데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는다니 많이 아쉬운 부분이죠.


아마존 주가 전망 증권사 투자의견


하나금융투자 김재임 연구원 아마존 주가 전망 분석

□ 20년 10월 11일에서 12월 24일 아마존의 전체 리테일 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했고 시장 전망치인 2.4%를 상회
□ 온라인 리테일이 예상보다 훨씬 높게 49% 증가했기 때문이며, 온라인 비중은 전년 13%에서 20%로 늘어남

□ 아마존은 쇼핑시즌에 맞춰 물류와 배송시설 100개를 9월 추가 확충했고 10월 초 대규모 인력 충원하며 공격적인 비용 확대로 급증한 수요에 대응

미국 상원선거 이후 블루웨이브 발 정책 수혜를 생각하며 한국증시 코스피 3000선을 넘어섰는데요. 블루웨이브가 아마존에게도 호재일까요?
법인세 상승과 반독점 법안들에 대한 우려로 아마존 주가는 오히려 하락하였어요.

아마존 주가 전믕에 대해서는 추가로 포스팅 올리도록 할게요.


구독과 좋아요 부탁해요. 질문이 있으신 분들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성실히 답변할게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