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를 투자하려고 할 때 가장 먼저 고민하는 것은 어느 거래소로 시작할까? 겠죠.

가상화폐 거래소 고르기 팁


■ 비트코인 외 많은 코인들은 1분 사이에도 가격이 요동을 칠 때가 많기 때문에 거래량이 충분한 4대 거래소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 1. 거래량이 적은 거래소라면 내가 원하는 가격에 비트코인을 사고팔지 못할 생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죠.

이유 2.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시행과 함께 거래소의 의무사항이 되는 은행 실명계좌 발급 •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 등을 모두 충족한 곳도 4대 거래소뿐입니다.

■ 4대 거래소는 국내 시장점유율 순으로 나열하면 빗썸 •
업비트 • 코인원 • 코빗 순입니다.

가상화폐 비트코인 수수료는 얼마?


수수료는 거래소마다 차이가 있어요.

업비트는 원화거래 시 0.05%, 비트코인마켓과 테더마켓에서의 거래는 0.25%의 수수료

빗썸은 기본 수수료가 0.25%지만 일정 금액을 받고 수수료 쿠폰을 판매하고 있어요.
(쿠폰을 이용하면 0.04%까지 수수료를 내려가죠.)

코빗은 0.15%의 수수료 코인원은 0.20%(그로스마켓 0.1%)의 수수료

※ 거래 수수료는 매수 • 매도 시 각각 붙는다는 것 알아두세요! 거래소는 수수료로 먹고 살기 때문에 이것저것 수수료가 많이 포함돼 있어요.


원화 마켓 • BTC 마켓 • USDT 마켓

 


거래소 화면을 열면 기본적으로 원화마켓(KRW)과 그 외의 마켓이 있어요.

■ 원화마켓(KRW)에서는 원화로 코인을 매수
■ BTC 마켓에서는 비트코인으로 코인을 매수
USDT 마켓에서는 테더 코인으로 코인을 매수
즉 원화마켓에서 가격은 1코인당 원화 가격을 의미하며 BTC 마켓의 가격은 다른 종류의 1코인을 살 때 비트코인 몇 개가 필요한지를 보여줘요
.

가상화폐 비트코인 거래하는 방법


첫번째. 거래소와 은행 간 실명계좌 연동시키기

마음에 드는 거래소에 가입했다면 각 거래소와 연결할 수 있는 은행 계좌를 만들어야 해요.
4대 거래소 가운데 한 곳을 선택했다면 실명계좌 연동은 필수죠.

업비트는 케이뱅크
빗썸 • 코인원은 NH농협은행
코빗은 신한은행과 제휴를 맺고 있어요.

해당 은행에 입출금 통장이 있다면 새로 계좌를 개설할 필요 없이 연동시키기만 해도 바로 거래 가능해요.


두번째. 거래소에 입금하기


하단 메뉴바에서 [입출금]을 눌러주세요.


입금하기 누르고 입금할 금액을 입력 후 입금하시면 돼요.


계좌까지 등록했지만 거래소에 입금이 되지 않을 때도 있어요. 당황하지 말고 추가 보안 인증단계를 거치면 됩니다. 혹은 입금이 몰려 안되는 것일 수도 있어서 몇 분 지나고 다시 시도하시면 입금될 겁니다.


세번째. 원하는 코인 매수 • 매도


[거래소] 화면에서 매수 혹은 매도할 코인 선택


거래소에서 코인 매수매도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지정 매수·매도 방식]과 [시장 매수·매도 방식]이 있어요.

지정 거래는 현재 시세와는 상관없이 투자자가 원하는 가격대에 거래 즉 주식시장에서의 거래와 비슷한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현재 비트코인 시세가 6500만원 수준이라면 향후에 떨어질 것을 예상해 10% 이상 떨어지면 구매하겠다고 지정하는 거래방식인데요.
여기서 조심해야 할 점은 주식과 다른게 한 번 주문이 들어가면 날이 바뀌어도 주문이 취소되지 않고 따로 취소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며칠, 몇 달 이후에도 거래가 성사될 수도 있으니 주의하세요.

시장 거래는 코인을 팔겠다고 내놓은 사람 가운데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거래가 이뤄지는 방식으로 주식에서 시장가 주문과 비슷한 거래방식 입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